다시금 새만금 갯벌을 생각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12:49
본문
Download : 다시금 새만금 갯벌을 생각한다.hwp
◆사업목적 : 농지 감소에 대비한 식량증산 (식량 안보를 위한 쌀 생산 증산)
“새만금사업은 식량과 물을 확보하기 위해서 전북 군산에서 부안까지 둑(방조제)을 쌓아 농지와 호소를 만드는 사업입니다. 농지와 호소와 함께 습지, 철새 도래지, 자연학습장, 생태공원도 함께 만들어집니다.”
1. 사라지는 농지 대체
◇인구증가와 도시화로 사라지는 농지 대체
- 지난 10년동안 22만ha의 농지가 도로, 주택, 산업용지 등으로 전환됨
- 우리 국민 4,700만명의 식량생산을 위해서는 최소한 100만ha의 쌀재배면적이 유지되어야함(현재108만ha)
◇인구 및 농지면적 change(변화)
2. 부족한 수자원 확보
◇ 우리나라는 물부족 국가
- 우리나라는 UN에서 분류한 …(투비컨티뉴드 )
새만금간척사업
다시금 새만금 갯벌을 생각한다...
순서
여러 언론매체를 참고로 하여 새만금 간척사업의 목적과 추진실태과 현재의 상황과는 정면으로 배치됨을 증명하고, 새만금 갯벌의 생태적 가치와 지난 시화호계획의 무산을 교훈으로 삼아 새만금 간척사업의 drawback(걸점)을 지적하고 또한 나아가서 해외의 보전 example(사례) 들을 모델로 내어 그 대책을 강구했습니다.,의약보건,레포트
설명






여러 언론매체를 참고로 하여 새만금 간척사업의 목적과 추진현황과 현재의 상황과는 정면으로 배치됨을 증명하고, 새만금 갯벌의 생태적 가치와 지난 시화호계획의 무산을 교훈으로 삼아 새만금 간척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또한 나아가서 해외의 보전 사례들을 모델로 내어 그 대책을 강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