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22:18
본문
Download :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hwp
그러나 학습지진 아동은 보통 이하(대개는 80이하)의 지능을 보인다.
학습부진(school underachievement) : 일반적으로 `학습부진`이라 함은 지능이 보통 또는 그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이유로 학교 공부에 실패하거나 기대되는 성취수준에 이르지 못 하는 것으로 정의(定義)된다 즉, 어떠한 기준을 전제로 사용되는 상대적인 용어로 높은 수준에 아동일지라도 자기와 같은 나이의 연령 집단의 average(평균)성취 기준에 비해 뒤떨어진다면 상대적으로 학습부진이라 할 수 있따
정의(定義) :한국교육개발원(1989)은 `학습부진아란 정상적인 학교 학습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서도 선수학습 요소의 결손으로 인하여, 설정된 교육 goal(목표) 에 비추어 볼 때 수락할 수 있는 최저 학업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로 정의(定義)하고 있따
특징: 첫째, 지능은 정상이지만 성적이 들쑥날쑥하거나 과목간의 성적 차이가 크고 공부하는데 흥미가 없으며 공부하는 요령이나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 둘째, 이들은 다른 아이들에 비해 학습 속도가 매우 느리고, 쉬운 과제(problem)도 질질 끄는 편으로, 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상황 판단이 부적절하거나 부족하다는 말을 자주 들을 경우 셋째, 행동이 느리고, 하고자 하는 의욕이 …(省略)
설명
Download :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hwp( 48 )
,인문사회,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학습장애Learningdis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학습장애Learningdis ,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다.
레포트/인문사회
1. 학습장애의 의의
1) 용어
2) 정의(定義)
3) 학습장애에 포함된 공통적인 요소
4) 학습장애아 정의(定義)에 포함되는 요소
5) 학습장애아 정의(定義)에 제외되는 요소
6) 학습장애 외의 다른 장애
7) 학습장애의 특징
8) 원인(原因)과 요인
9) 분류와 특성(特性)
2. 학습장애의 치료적 제언
1) 학습장애의 중재방법
2) 학습장애의 접근방법
3) 학습장애 아동의 교육과정
4) 학습장애아동의 부모
5) 학습장애가 靑少年(청소년) 범죄에 미치는 influence
6) 학습장애의 치료
reference
학습장애 외의 다른 장애
학습 지진아(slow learner)
정의(定義) : 학습지진아의 정의(定義) 은 발달적인 정의(定義) 이 강조되는 용어로 선천적으로 지능이 낮고(IQ 70 - 90), 기본적인 학습 능력이 낮고 학습 속도가 늦어서 같은 학년의 아동들과 함께 학습을 할 수 없는 아동을 말한다.
학습장애와 학습지진의 차이점
학습장애아동은 개인 지능검사에서 보통 수준 이상의 지능을 보인다.
학습지진 아동은 모든 교과목에서 저조한 성취를 하지만, 학습장애 아동은 잘하는 교과목이 있을 수 있따
학습장애 아동은 특정한 영역에서만 다른 아동에 비해 발달이 느리지만 학습지진 아동은 언어, 공간 능력, 운동 능력, 대인관계, 정서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다른 아동에 비해 발달이 느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