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비판적 점검 - 제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예로 들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05:24
본문
Download : 문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비판적 점검 - 제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예로 들어.hwp
본고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세 가지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과정이 바뀌고 새로운 교과서가 나올 때마다 그것을 analysis하고 비판하는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문학교과서개발에대한 , 문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비판적 점검 - 제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예로 들어사범교육레포트 ,
다. 첫째, 문학 교과서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가에 관한 원론적인 문제, 둘째, 문학 교과서 개발에 어떤 힘들이 개입하는가 하는 정치적인 문제, 셋째, 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가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가 하는 실천적인 문제가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학 교재론 및 문학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제언을 덧붙임으로써 논의를 매듭지을 것이다.






,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본고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세 가지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이 본고가 교과서 자체가 아니라 교과서 ‘개발’에 좀더 주목한 이유이다. 이 11종은 그 동안 꾸준히 교과서를 출판해 온 출판사(교학사·금성·두산·문원각·민중·중앙)와 대입 참고서를 바탕으로 새로이 부상한 출판사(교육미디어·디딤돌·블랙박스·천재), 그리고 지방의 전문 출판사(상문)에서 출원하여 검정을 통과한 책들이다.
순서
Ⅰ. 서론
Ⅱ. 문학 교과서의 이념태 - 문학교육과 교과서
1) 학교 교육과 교과서
2) 문학 교과서의 特性
3) 문학 교과서의 지향
Ⅲ. 문학 교과서의 가능태 - 교과서 개발의 논리
1) 「문학」 교과서 개발에서의 참조항
2) 「문학」 교과서 개발에서의 변인
3) 「문학」 교과서 개발에 관한 의사 결정
Ⅳ. 문학 교과서의 현실태(實態) - 제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1) 교과서 점검을 위한 전제
2) 집필자
3) 단원 조직
4) 단원 구성
5) 단원 학습
6) 논의
Ⅴ. conclusion(결론)
1) 문학 교재론의 내적 갈등
2) 문학 교과서 개발에 관한 제언
논의의 자료(data)는 1차 검정 통과본 교과서 11종으로 한정한다.
Ⅱ. 문학 교과서의 이념태 - 문학교육과 교과서
1) 학교 교육과 교과서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17634호, 2002.6.25)’에 의하면, ‘교과서’란 “학교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위하여 사용되는 학생용의 서책·음반·영상 및 전자 저작물 등”을 …(생략(省略))
설명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문학교육의 지향점을 파악하고, 교실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문학교육의 실천을 예측하며, 문학교육에서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사항들이 무엇인지 알아내어 그 답을 찾아갈 수 있따
문학교과서개발에대한
Download : 문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비판적 점검 - 제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예로 들어.hwp( 34 )
문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비판적 점검 - 제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예로 들어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문학교육의 지향점을 파악하고, 교실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문학교육의 실천을 예측하며, 문학교육에서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사항들이 무엇인지 알아내어 그 답을 찾아갈 수 있다. 그러한 작업은 대체로 누구의 어떤 작품이 선정되고 체제는 어떠한지, 그리고 내용상 오류는 없는지 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 비교로는 진정한 교재론이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이 본고의 입장이다. 첫째, 문학 교과서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가에 관한 원론적인 문제, 둘째, 문학 교과서 개발에 어떤 힘들이 개입하는가 하는 정치적인 문제, 셋째, 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가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가 하는 실천적인 문제가 그것이다. 재검정본 7종이 더 있으나, 본고의 논의 방향에는 큰 影響(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학 교재론 및 문학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제언을 덧붙임으로써 논의를 매듭지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그 이면에 담겨 있는 문학교육의 철학과 理論이며, 교과서를 둘러싼 담론들 사이의 경쟁 관계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