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ster.kr 지역조사 > sister4 | sister.kr report

지역조사 > sister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ister4

지역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8:30

본문




Download : 지역조사.hwp




소금배가 다닐 무렵의 염창동은 강물의 흐름이 급한데다가 물목이 좁아 모래가 자주 메워져 종종 여울목이 생겨났다. 만약에 미곡을 실은 배가 침몰하게 되면 미곡은 이 부근에 사는 사람들이 건지게 되므로 이 여울목의 이름을 증미항, 염창여울목이라고도 불렀다. 1920년 대홍수를 당한 조선총독부의 토목 관계자들…(省略)

지리학입문-지역조사
순서




지역조사

설명





지리학 입문과definition 하나로 서울 강서구 염창동에 상대하여 지역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현재는 영등포구 양화동이지만 과거의 염창동이었던 곳이 있다아 바로 현재의 인공폭포가 있는 ‘쥐산’ 이다. 현재의 쥐산은 예전에 비해 규모가 많이 줄어들었다. 특히 뒷부분이 많이 파괴되었는데 일제시대 때 공항로 건설을 위해 쥐산에 채석장을 설치했기 때문이다
염창동과 영등포구의 경계에 흐르고 있는 안양천 또한 예전과는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었다. 지세의 형태를 봤을 때 양화도 근처에 있는 ‘선유봉’의 모습이 고양이가 되고, 쥐산이 먹이를 앞에 놓고 있던 쥐가 금방이라도 도망갈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해서 붙여졌다. 증미는 쌀을(米) 건진다(拯) 라는 뜻이다.
또한 염창동에는 ‘증미산’ 이라는 별명이 붙은 염창산이 있다아 염창동 주변의 마을은 한강 가에 솟은 염창산의 산록에 홍수를 피하여 이전한 사람들이 형성하였다. 때문에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조운선이 가끔 침몰하는 경우가 생겨났다.,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지역조사.hwp( 13 )


지리학 입문과정의 하나로 서울 강서구 염창동에 대해서 지역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지리학입문-지역조사 , 지역조사인문사회레포트 ,
1. 강서구 동 이름의 기원와 염창동의 지리적 요소
2. 염창동의 대중교통
3. 동국대학교의 생활권
4. 염창동의 인구alteration(변화)
5. 한강文化(문화)



1. 강서구 동 이름의 기원와 염창동의 지리적 요소

현재 강서구에는 염창동, 등촌동, 화곡동, 가양동, 마곡동, 발산동, 방화동, 개화동, 과해동, 오곡동, 오쇠동 이렇게 12개의 동이 있다아 그리고 각각의 기원를 찾아보면 지리적 요소를 찾을 수 있다아
먼저 내가 살고 있는 염창동은 말 그대로 옛날에 소금(鹽)창고(倉)가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역조사_hwp_01.gif 지역조사_hwp_02.gif 지역조사_hwp_03.gif 지역조사_hwp_04.gif 지역조사_hwp_05.gif 지역조사_hwp_06.gif
다. 염창에는 서해안과 남해안의 염전에서 모은 소금을 서해의 뱃길을 이용해서 한강 하구까지 들여오는데 일단 한강하구에 진입한 배는 마포 근방까지도 가게 되지만 소금의 경우는 자칫하면 물에 녹는 경우가 많았고 이곳이 소금을 보관하기에 좋은 장소였으므로 이곳에 소금을 부리고 다른 물품들은 마포까지 배로 운반되었다.
전체 9,53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iste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